<대구 고립·은둔 청년 2만 명 넘는다···83.7% "벗어나고 싶다"> (대구MBC, 2025.02.26.)
대구시는 최근 용역을 의뢰해 처음으로 사회적 고립 청년 실태를 분석했습니다. 대구에서 생활하는 고립·은둔 청년은 2만 1천여 명으로 추정됩니다. 19살에서 39살 이하 청년 58만 4천여 명 가운데 3.6%입니다. 고립·은둔 위험이 있는 청년까지 더하면 그 규모는 4만 6천 명으로 늘어납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지난 2022년 기준 전국적으로 고립·은둔 청년 수가 54만 명에 달할 수도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 해당 보도에서
예전에 그들을 다룬 TV 다큐멘터리를 본 터라 무척 마음이 아팠는데, 여기에 달린 부정적인 댓글을 보니 더 슬퍼졌다.
A - 솔직히 아무 일 안 해도 먹고사는데 지장 없어서 무기력한 거 아닌가? 고립 은둔까지 국비들여서 지원해야 한다는 게 참으로 애석하다..
B - 참 돈이 남아도네...일 안 해도 돈을 주니 저러지...미쳐도 단단히 미쳐 가네… 세금을 저런 데 사용하다니...웃기네....ㅋㅋㅋ 돈을 주는데 왜 일을 해..절대 안 하지....
아무리 각자도생의 시대라지만, 힘들어하는 사람에게 위로도 못할망정 저렇게 상처를 주고 싶을까?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23년 발간한 <고립 은둔 청년 실태조사>에서 은둔 청년의 약 66.9%가, 고립 청년의 52.2% 20대에 고립·은둔을 시작했다고 나왔다. 이들은 취업 준비나 실직, 퇴직 등 직업상의 어려움, 친구나 직장동료 등 대인관계 어려움을 시작 이유로 답했다.
우리는 청년을 나라의 미래라 치켜세우지만, 그들의 아픔에 무관심했다.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높은 비율을 보이는 대한민국의 자살률은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기준 13,978명, 2~30대 청년 자살자가 48.6%(20대 22.2%, 30대 26.4%)를 기록했다.
지금이라도 그들을 다루는 보도가 늘어나고, 걸맞은 정책과 사업이 실행되어야 한다. 정부와 여러 지자체는 고립, 은둔 청년을 지원하는 방안과 사업 공모를 시행하고 있다. 대구시도 올해 3월부터 <2025 사회적 고립청년 지원사업>을 시작했다. 특히 대구광역시청년사업센터는 이 중 <심리지원 시즌1>을 시작했는데, 누리집에서 고립·은둔 자가 검사를 제공하면서, 거기에 해당되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해보라 권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