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터 출처 :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얼룩말과 초코파이를 좋아하는, 겉보기엔 또래 아이들과 다른 것 하나 없는 귀엽고 사랑스럽기만 한 초원. 어느 날 초원이는 자폐라는 청천벽력같은 진단을 받게 되고, 엄마 경숙(김미숙 분)은 감당할 수 없는 현실 앞에 좌절한다. 그러나 경숙은 초원이가 달리기에만큼은 비장애인보다도 월등한 능력이 있음을 발견하고, 달릴 때만큼은 남들과 다르지 않은 아들의 모습에 희망을 품고 꾸준히 훈련시켰다. 시간이 흘러 어느덧 20살 청년이 된 초원. 그러나 지능은 여전히 5살 수준에 머물고 있다. 모르는 사람 앞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방귀를 뀌어대고, 동생에겐 마치 선생님 대하듯 깍듯이 존댓말을 쓰고, 음악만 나오면 아무 데서나 특유의 막춤을 선보이기 일쑤이니, 어딜 가든 초원이가 있는 곳은 시끄러워지기 마련이다. 하는 짓이나 말투는 영락없는 5살 어린애이지만 어린 시절부터 꾸준히 해온 달리기 실력만큼은 여전히 최고인 초원. 경숙은 자신의 목표를 ‘초원의 마라톤 서브스리 달성’으로 정하고 아들의 훈련에만 매달린다. 어느 날 세계대회에서 1등을 한 전력도 있는 전직 유명 마라토너 정욱(이기영 분)이 음주운전으로 사회봉사 명령을 받고 초원의 학교로 오게 된다. 경숙은 애원하다시피 해서 기어이 정욱에게 아들의 코치 역할을 떠맡긴다. 도무지 속을 알 수 없는 초원을 성가시게만 생각했던 정욱. 하지만 초원과 함께 시간을 보낼수록 그는 아이같이 순수하고 솔직한 초원에게 조금씩 동화되어 가고, 초원도 정욱에게 마음을 열기 시작한다. 정욱은 매번 속도 조절에 실패해 지쳐 쓰러지지만 지구력이 남다른 초원에게 마라톤 서브스리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본격적으로 훈련에 들어간다. 한편 불성실하게만 보이는 정욱이 도통 미덥지 않은 경숙은 어느날 정욱과 말다툼을 벌이게 된다. “‘자식 사랑과 집착을 착각하지 말라”는 정욱의 말에 아무 대꾸도 할 수 없는 경숙. 경숙은 정욱의 말대로 이제껏 ’좋다’, ‘싫다’는 의사 표현도 할 줄 모르는 아이를 자신의 욕심 때문에 혹사시키는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을 떨쳐버릴 수가 없다. 이제껏 쌓아온 모든 것이 무너져 내린 듯한 기분의 경숙. 그녀는 이제 마라톤도, 서브스리도 모두 포기하기로 마음먹는데…”
- 시놉시스 (출처 : Daum 영화(일부 단어 수정))
신경다양인 배우 카일라 크로머(Kayla Cromer)는 ‘텔레비전에 등장하는 비장애인/신경전형인 배우가 장애인/신경다양인 역할을 연기할 때, 현실감이 떨어지는 모습을 표현한다’고 말했다. 그들을 다룬 작품을 만들고 연기할 때 경험과 편견에 의존하니 당사자 눈에 어색할 수 밖에 없다. 물론 이들의 노력을 비하하려는 게 아니다. 진심으로 이해하려는 모습을 곳곳에 보여주면 칭찬하고 싶다. 어쩌면 작품에 맞는 당사자 배우를 찾기 힘든 상황, 작품 특성상 적은 시청률과 다시보기 조회 수, 재미와 의미를 맞춰야 하는 점이 큰 어려움이라 본다.
1. 다양성을 반영할 것(Reflect Diversity)
2. 편견을 피할 것(Avoid Stereotype)
3. 장애인 배역에 당사자를 캐스팅할 것(Cast Authentically)
4. 제대로 오디션을 볼 것(Audition Appropriately)
5. 파트너쉽을 가지고 일할 것(Work in Partnership)
6. 훈련에 투자할 것(Invest in Training)
7. 경험을 제공할 것(Provide Experience)
- 신경다양인 극단 하이징스가 당사자 배우 캐스팅 과정으로 제안한 7가지 사항
연극, 뮤지컬 분야에서 당사자 배우로 구성된 극단이 있다. 영국 웨일스 지역에 기반을 둔 극단 하이징스(Hijinx)는 2012년부터 1년 과정의 당사자 배우 양성 아카데미 5개를 운영하고, 대형 극단과 협업하며 공연, 음악 작업 등을 진행한다. 대표인 클레어 윌리엄스는 그들을 지도하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발달장애인 청소년들이 훈련에 온 힘을 다하고 또 재능과 열정이 넘치는 모습을 보면서 깜짝 놀랐습니다.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새로운 방식과 표현들을 봤어요. 저는 발달장애인을 '신경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이라고 생각해요. 발달장애인은 비장애인과 굉장히 다른 뇌를 가졌습니다. 세상을 보는 새로운 시선과 우리와 다른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습니다. 이것은 배우로서 정말 놀라운 재능이자 꼭 필요한, 환상적인 조건이라고 생각해요. 수업 첫날부터 '아카데미를 확장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 윌리엄스 대표가 비마이너와 인터뷰에서 했던 말
한국의 라하프(Lahaph)는 그들이 출연하는 뮤지컬 작품을 만드는 극단으로 부모들의 재정적인 지원, 문화예술 전문가들의 재능기부와 참여로 이뤄진다. 2016년부터 창작 뮤지컬과 콘서트를 만들어 두 차례 정기 공연을 하며 당사자들을 위한 예술 프로그램을 개발, 예술인 지도자 양성 과정을 준비, 진행한다.
“우리 사회에는 발달장애인을 향한 천차만별 유리 천장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 “그 어떤 것도 스스로 할 수 없다”는 편견 앞에 무너질 수밖에 없는 발달장애인들을 위해 라하프는 그들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일까를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라하프는 성인 발달장애인들이 좋아하는 춤, 노래 등을 통해 관계 맺기, 공동체 경험하기, 리더십, 데이트 코칭 등 다양한 활동으로 그들이 자립해 나가는 데 도움을 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발달장애인들이 꿈꾸고 그것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함께 걸어가는 공동체가 라하프입니다.” - 라하프 홈페이지 내 설립목적